본문 바로가기
테크

토스(Toss) ― 최신 실적 포함한 생활형 금융 슈퍼앱의 현재와 과제

by 세이브업100 2025. 9. 14.
반응형

 

토스(Toss) 

2025 상반기 실적 가속화 · 증권 중심 수익 편중 · 경쟁 및 글로벌 확장에 대한 전략 재점검

2024 연간 매출
₩ 1조 9,556 억
2024 연간 영업이익
₩ 907 억
2025 상반기 매출
₩ 1조 2,355 억
2025 상반기 영업이익
₩ 1,546 억
한 줄 요약: 토스는 2024년에 연간 흑자로 돌아선 데 이어 2025 상반기엔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30% 이상 증가하며 수익성 가속화에 성공. 다만 “증권 중심 수익 구조” 및 “경쟁 심화”는 지속되는 과제.

1) 왜 토스인가: 한국형 ‘생활형 금융 슈퍼앱’의 희소성

하나의 앱으로 송금·결제·투자·대출·보험·세무 등이 연결되는 “금융 풀스택 + 생활 밀착형 기능” 조합은 국내외에서도 드뭅니다. 이 점이 사용자 락인(Lock-in)과 충성도를 높였습니다.

2) 사업 구조: 플랫폼/비금융 vs 금융

플랫폼 & 비금융 (비바리퍼블리카 주도)

  • 송금·간편결제·보험·중개·광고·커머스·세무 등 사용자 접점 부문
  • 비즈니스 고객 중심 B2B 부문: PG(토스페이먼츠), 오프라인 단말기, 머천트 서비스

금융 자회사

  • 토스증권: 리테일 중심 증권중개, 예탁금이자 등 → 2024/상반기에 실적 급증. 예: 2024년 영업수익₩ 4,266 억, 영업이익₩ 1,492 억 등. :contentReference[oaicite:0]{index=0}
  • 토스은행: 은산분리 영향으로 지분 28.42% 제한, 연결 매출/영업이익에 직접 반영 안 됨
해석 팁: “연결 실적 기준 금융 기여도”를 보면 증권사가 중심이며, 은행 부문은 지분법 손익으로 반영되어 외형에 제한이 있으므로 전체 수익 구조 분석 시 주의요함.

3) 숫자로 보는 토스

기간 매출 (연결 기준) 영업이익 / 순이익 MAU 또는 가입자 수 기타 지표
2024 연간 ₩ 1조 9,556억 영업이익 ₩ 907억 / 당기순이익 ₩ 213억 MAU 약 2,480만 명 :contentReference[oaicite:1]{index=1}
2025 상반기 ₩ 1조 2,355억 영업이익 ₩ 1,546억 / 당기순이익 ₩ 1,057억 가입자 수 약 3,000만 명 기반 :contentReference[oaicite:2]{index=2}
토스증권 2024 ₩ 4,266억 (영업수익) 영업이익 ₩ 1,492억 / 순이익 ₩ 1,315억 :contentReference[oaicite:3]{index=3}

 

4) 경쟁 환경과 리스크

① UX 격차의 축소

전통 금융사 및 대형 플랫폼들이 UX/UI/인증 절차 간소화에 박차를 가하면서 토스가 누려왔던 차별화 요소 일부가 잠식되는 중입니다.

② 수익 구조의 편중

증권 부문이 겹겹이 수익 중심에 있지만, 리테일 중심 모델은 시장 변동성·경쟁 압력에 취약합니다. 기관/IB/운용 부문의 보강이 필요합니다.

③ 규제·거버넌스 과제

은산분리·지분구조·데이터 사용·보안 관련 규제가 상존하며, 특히 해외 확장 시 각국 규제 대응력이 핵심 경쟁력이 될 것입니다.

5) 앞으로의 로드맵

  • 해외 상장 전략 : 미국 IPO 추진 가능성 제기됨. 글로벌 투자자들의 신뢰 획득과 성장 지속성 증명 필요.
  • 해외 진출 및 복제 가능성 : 호주 등 오픈뱅킹 우호 국가 중심의 시장 실험, 현지 맞춤 UX/규제 전략 확보.
  • 제휴 및 신사업 확대 : 스테이블코인/토큰화 등 디지털 자산 관련 옵션, 인증/신분증/신규 금융 상품 연계 확대.

6) 에디터즈 인사이트(요약 제언)

플랫폼 수익 다변화

컨슈머 서비스 외에도 광고·커머스 중개·머천트 서비스 쪽 ARPU 개선 및 LTV 확대 전략 강화.

증권 중심 구조의 균형 조정

기관 고객 유치, 운용·신용 대출 상품 등 증권 외 금융 상품·서비스 라인업 강화로 안정성 확보.

은행 부문 활용 극대화

현재 지분법 처리로 제한된 은행 부문의 기능을 사용자 락인 강화 및 데이터 기반 서비스로 활용.

해외 PMF & 규제 대응

글로벌 진출 시 규제/현지 경쟁 환경 맞춤형 검증 및 안정적인 거버넌스 구축.

 

 

FAQ

Q1. 왜 ‘토스은행’ 실적이 연결에 작게 보이나요?

은산분리 제약으로 지분율 제한 있음 (약 28.42%) → 연결 매출/영업이익에 직접 반영되지 않고 지분법 손익으로 하단에 반영됨.

Q2. 토스의 가장 큰 리스크는?

증권 중심 수익 구조의 변동성, 경쟁 심화, 규제 변화가 주요 리스크 요소입니다.

Q3. 해외에서도 성공 가능성은?

현지 규제와 파트너십, UX 적합성 및 현지 사용자 취향 검증이 선행되어야 하며, “한국형 슈퍼앱 모델”을 그대로 복제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가능성은 존재.

 

※ 본 글은 공시/보도자료/언론보도를 바탕으로 작성한 요약·해석 콘텐츠입니다. 투자 판단 또는 권유 목적이 아니며, 내용 오류 가능성 있습니다. 수정/보완 의견은 댓글로 환영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인스파이어 포레스트 타워 디럭스 킹 후기 영종도 인스파이어 Sun Tower Sun Suite 후기 영종도 맛집 왕갈비짬뽕 양자강 인천 홍게무한리필 후기 동양염전 베이커리 후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