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관세 전쟁과 주요 국가들의 대응 전략 총정리
지난 대선 기간부터 스스로를 ‘관세맨’이라 부른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재임 중 다양한 관세 정책을 통해 글로벌 무역 판도를 흔들었습니다. 2024년부터 다시 가동된 그의 관세정책은 보편 관세, 품목 관세, 상호 관세로 나뉘며, 각국의 대응 역시 저마다 달랐습니다.
📌 트럼프의 3대 관세 정책
- 보편 관세: 2024년 4월 5일부터 발효.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수입품에 기존 관세 외 추가로 10% 부과
- 품목 관세: 철강·알루미늄(3월 12일), 자동차(4월 3일) 등 특정 품목에 25% 관세 부과
- 상호 관세: 미국 이익을 침해한 ‘최악의 침해국’에 부과. 국가별 맞춤형으로 최대 145%까지 부과하며, 90일 유예 기간 후 발효
🌍 주요 10개국의 대응 전략
🇪🇺 유럽연합(EU) - 협상 난항 속 강경 대응도 검토
철강·자동차 품목에 이어 상호 관세까지 부과받은 EU는 보복 관세를 예고했지만, 미국의 유예 발표로 일단 멈췄습니다. 미국이 식품 및 디지털 규제에 문제 제기를 하자 EU는 협상 불가 '레드라인'을 언급하며 팽팽한 긴장 속에 협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자체적으로는 22조 원 규모의 스페인 지원책, 40조 원 규모의 이탈리아 패키지 등을 내놓았습니다.
🇲🇽 멕시코 - 협력적 태도로 무관세 유지 전략
초기에는 보복도 고려했으나, 미국 국경 문제에 협조하고 우호적 태도를 보이며 USMCA 협정 내 수입품 무관세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경제 강화 정책 '플랜 멕시코'를 통해 자립적 성장도 도모 중입니다.
🇨🇳 중국 - 강경한 맞불 전략
125% 상호관세와 펜타닐 문제 관련 품목관세를 부과받은 중국은 보복관세와 수출 제한(히토리움 자석 등)으로 대응했습니다. 동남아 및 EU와의 외교 접촉 확대, 우호적 태세 전환도 병행 중입니다.
🇨🇦 캐나다 - 유연한 보복과 내부 개혁
보복 관세를 시행하면서도 유예 조건 협상을 진행 중입니다. 동시에 연방 내 무역 장벽 철폐, 세금 감면, 석유 프로젝트 재개 등 내부 효율성 제고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 일본 - 관세 철폐 요구, 안보 비용 부담은 부담
미국과 협상을 지속하고 있지만, 관세 철폐에는 진전이 없습니다. 대신 군사·안보 이슈로 미국이 추가 부담을 요구한 정황도 있습니다.
🇻🇳 베트남 - 우호적 제스처와 단속 강화
관세 인하 희망을 전하며 미국산 제품 구매 확대 및 중국산 우회 수출 단속을 약속했습니다.
🇹🇼 타이완 - 협상 의지와 대규모 구매 약속
10년간 약 290조 원 규모 미국산 제품 구매 계획 발표. LNG 수입 확대 및 환적 방지 노력도 병행합니다.
🇮🇳 인도 - 선제 조치와 기술 협력 강화
관세 인하 및 에너지·무기 구매 확대. 미국과의 기술 동맹 추진을 통해 국익과 협상력을 동시에 추구 중입니다.
🇬🇧 영국 - 비교적 낮은 관세, 기술 중심 협상 추진
10% 상호관세를 부과받았지만, AI 및 과학기술 분야 중심으로 협상에 나서며 무역협정 체결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습니다.
🇰🇷 한국, 전략적 대응이 필요한 시점
한국은 안보 현실상 더 복잡한 입장에 놓여 있어, EU·중국·일본 등 여러 국가의 대응을 면밀히 참고한 신중한 전략 마련이 필요합니다. 특히 국방·기술 협력 등의 카드를 통해 관세 협상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을 고민해야 할 시점입니다.
✅ 참고 자료: 미국 무역대표부(USTR), 각국 정부 공식 발표 자료, 방송 해설 정리
이 글이 유익하셨다면 댓글이나 좋아요로 알려주세요!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티스토리 로그인하고 전체 글 보기 (로그인이 풀렸을 경우 클릭하세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HBM 생태계와 SK하이닉스 (15) | 2025.04.25 |
---|---|
아마존 물류센터, 그 비밀은? (10) | 2025.04.19 |
2025년 부자들의 투자 트렌드 바로보기 (9) | 2025.04.17 |
스테이블코인發 K-엑소더스 (8) | 2025.04.17 |
90일 관세 유예, 애플·삼성 웃었다 (4) | 202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