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 “인도인의 유별난 ‘금 집착’…문화부터 경제까지 들여다보기”

by 세이브업100 2025. 4. 2.
반응형

 

최근 금값이 온스당 3,000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 2011년 유로존 위기, 2020년 팬데믹, 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분쟁 등 불확실성이 클 때마다 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주목받아왔죠. 그런데 이런 세계적인 변수와 별개로, 금 수요에 있어 언제나 ‘상수’로 등장하는 나라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인도입니다.


🇮🇳 세계 최대 금 소비국, 인도

인도는 오랜 세월 금 소비 1위 국가였습니다. 한때 중국에 1위를 내주었지만, 다시 왕좌를 탈환하기도 했죠. 인도 가정이 보유한 금은 약 24,000~25,000톤, 이는 미국 정부 보유량의 3배에 달하며 세계 중앙은행 9곳이 보유한 금을 모두 합친 양보다 많습니다. 이를 시세로 환산하면 약 3,500조 원이 넘는 자산입니다.


🙏 종교와 문화, 금을 신성시하는 사회

힌두교에서는 금을 행운과 번영을 상징하는 여신 락슈미와 연결 짓습니다. 이 때문에 인도인들은 특정 축제나 운이 좋은 날에 금을 구매하는 풍습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날이 디왈리악샤야 트리티야, 특히 디왈리 첫날인 단테라스에는 하루에만 수십 톤의 금이 팔리곤 합니다.


🏡 농촌 경제와 실물 자산 선호

인도는 여전히 인프라가 부족한 농촌 인구가 많습니다. 이들은 은행보다는 실물 자산으로서 금을 선호합니다. 특히 **몬순(우기)**이 끝나면 농촌 수입이 늘어나 금 수요가 폭증하는 현상이 매년 반복됩니다. 강수량이 1% 증가할 때, 금 수요가 0.5%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 ‘노 골드 노 웨딩’ – 결혼과 금

인도에서 금은 단순한 장신구가 아닙니다. 결혼식에는 20g에서 최대 2kg의 금을 준비하는 게 일반적이며, 연간 결혼식 규모는 약 1,000만~2,000만 건에 달합니다. 결혼식 관련 금 소비는 전체 수요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죠.

여기에 **지참금 문화(다오리)**도 작용합니다. 딸에게 부를 물려주는 수단으로 금이 선택되면서, 아이가 태어나자마자 금을 모으는 가정도 많습니다. 실제로 금값 상승이 여아 사망률 증가로 이어졌다는 충격적인 연구도 존재합니다.


📉 금 수입이 만든 경상수지 적자

2012년, 인도는 경상수지 적자 사상 최악의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이유 중 하나는 과도한 금 수입. 자국 생산량은 미미한 반면, 수입량은 세계 최고 수준이었죠. 이에 정부는 금 수입 관세를 15%까지 올리고, **‘80:20 규제’**까지 도입했지만, 결국 밀수가 급증하는 부작용이 발생했습니다.


💸 화폐개혁이 불붙인 금 열풍

2016년, 인도 정부가 고액권을 폐지하는 화폐개혁을 단행하면서 현금 대신 금으로 자산을 옮기려는 수요가 폭증했습니다. 일부 보석상은 재고가 동날 정도였고, ‘금은 가치가 사라지지 않는다’는 믿음은 더욱 강해졌습니다.


📈 여전히 계속되는 금 수요

2023년 인도의 금 소비량은 802톤으로 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고, 중앙은행도 준비금으로서의 금 보유량을 사상 최대인 800톤까지 늘렸습니다. 금채권이나 유동화 정책도 시행되었지만, 금에 대한 국민적 신뢰는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


🧠 맺으며: 금은 인도의 문화 그 자체

인도에서 금은 종교, 문화, 투자, 사회 시스템까지 관통하는 하나의 거대한 상징입니다. 세계 정세가 불안정할수록 금을 향한 인도인의 신뢰는 더욱 공고해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경제 활성화를 위해 고민하고 있지만, 수천 년 쌓여온 금에 대한 집착은 쉽게 사라지지 않을 듯합니다.

 


이 글이 흥미로우셨다면 ‘공감’과 ‘댓글’로 의견을 나눠주세요. 금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부처 핸즈업! 2025 서울 국제불교박람회 체험기 로봇이 지은 집, 믿어지시나요? 현대차의 만우절 역대급 캠페인, 자율주행 화장실 ‘모빌넷(Mobillet)’ 등장! 세계 4위 '가장 멋진 동네' 성수동, 그 성장이 의미하는 것 25년 종합소득세 환급, 국세청 '원클릭 서비스'로 간편하게 신청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