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국민연금·기초연금 개편 핵심정리
안녕하세요 😊 오늘은 2025년 7월부터 달라진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개편 내용을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물가 반영, 가입 기준 확대, 수급 대상 확대 등 주요 변화가 많으니 꼭 확인해 보세요!
1. 국민연금 기준 소득월액 조정
- 상한액 : 617만 원 → 637만 원
- 하한액 : 39만 원 → 40만 원
- 보험료율 9% 기준
- 최고 납부액 : 57만3,300원
- 최저 납부액 : 36,000원
👉 고소득자는 보험료 부담이 늘어나고, 저소득자도 소폭 인상됩니다.
2. 국민연금 가입 사각지대 해소
- 적용 대상 확대 : 건설 일용근로자 → 건설회사 소속 근로자 전체
- 기준 : 월 8일 이상 근무 또는 월 220만 원 초과 소득 시 사업장 가입자로 인정
- 1개월 판단 기준 변경 :
기존 ‘최초 근로일~한 달 후’ → 그 달 말일까지로 변경
👉 현장별로 흩어져 일해도 합산 적용되어 더 많은 근로자가 혜택을 받습니다.
3. 기초연금 수급 대상 확대
구분 | 변경 전 | 변경 후 |
---|---|---|
단독 가구 | 월 202만 원 이하 | 228만 원 이하 |
부부 가구 | 월 323만 원 이하 | 364만8천 원 이하 |
👉 소득 인정액이 올라 더 많은 어르신이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국민연금 수령액 인상
- 2025년 7월부터 2.3% 인상
- 매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반영 (매년 7월 조정)
👉 국민연금은 물가에 맞춰 꾸준히 인상되므로, 장기적으로 유리합니다.
5. 국민연금 보험료율 인상 계획
- 현행 9% → 최대 13%까지 단계적 인상
- 2026년부터 매년 0.5% 인상 → 2033년 13% 도달
- 예시 : 소득 100만 원 기준
- 현재 : 9만 원
- 2033년 : 13만 원
👉 공무원연금(18%), 사학연금(18%), 군인연금(14%)에 비해 여전히 낮은 수준.
6. 자주 묻는 질문 (FAQ)
① 퇴직 후에도 계속 납부해야 하나요?
- 만 60세까지가 기본 가입기간. - 60세 이후에도 임의계속가입으로 추가 납입 가능. 👉 가입 기간이 늘어나면 수령액도 증가.
② 조기노령연금 받을 수 있나요?
- 최대 5년 일찍 수령 가능 (연간 6% 감액, 최대 30%). - 단, 월평균 소득 308만9천 원 이하일 경우 신청 가능. 👉 소득 공백기가 있다면 조기 연금 활용 추천.
③ 전업주부도 국민연금 필요할까요?
- 내 이름으로 받는 연금, 꼭 필요합니다. - 최소 10년 가입이 조건 → 추후납부 제도 활용 가능. - 약 1천만 원 납입 시 20~30만 원 수준의 평생 연금 확보 가능.
정리하며
2025년 7월 개편으로 납입 부담은 다소 커지지만, 연금 수령액과 기초연금 혜택이 확대되었습니다. 특히 전업주부나 일용직 근로자 등 사각지대에 있던 분들도 더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된 점이 큰 변화입니다.
👉 나의 상황에 맞는 선택(조기 연금, 연기 연금, 임의가입 등)을 통해 안정적인 노후 대비 전략을 세워 보세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 세계를 사로잡은 불닭볶음면, K푸드의 새로운 아이콘 (29) | 2025.08.04 |
---|---|
연금저축, 보험보다 펀드가 답일까? (18) | 2025.08.02 |
2025년 세제 개편안, 달라진 점과 앞으로의 대응 전략 (23) | 2025.08.02 |
MASGA, 한미 협상의 새로운 키워드 (27) | 2025.08.01 |
오늘 타결된 한미 무역협상, 일본과 비교 (27) | 2025.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