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팁

근로자의 날 쉬면 연차? 수당? 당신이 꼭 알아야 할 3가지

by 세이브업100 2025. 4. 30.
반응형

 

 

5월 1일, 근로자의 날에 회사에서 쉬라고 하긴 하는데... 문득 이런 궁금증이 떠오르지 않나요?

  • 🙋‍♀️ 쉬었는데 연차에서 빠지는 건가?
  • 💸 근무하면 수당을 더 받는 게 맞나?
  • 📄 근로계약서랑 다른데 어떻게 처리되나?

이번 포스팅에서는 근로자의 날과 관련된 연차 차감, 유급 처리, 수당 문제를 깔끔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1. 근로자의 날, 연차에서 빠질까?

절대 아닙니다! 근로자의 날은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유급휴일'

로 법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 연차 차감 ❌
  • 출근 의무 ❌ (단, 회사 방침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유급휴일 ✔ — 즉, 쉬어도 하루치 급여 지급됨

💡 관련 법 조항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 제1조 — 매년 5월 1일은 근로자의 날로 하고, 이날을 유급휴일로 한다.

 

✅ 2. 근무하면 수당은 얼마나?

근로자의 날에 출근했다면?

  • 통상임금 + 휴일근로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예: 시급 1만 원인 사람이 이날 8시간 일하면 👉 1만 원 × 8시간 × 2 = 16만 원

이는 법정 유급휴일 근로로 간주되며, 1.5배 또는 2배 지급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 주의할 점

  • 계약직, 아르바이트도 해당
  • 회사 규정에 따라 세부 수당은 달라질 수 있음

✅ 3. 공무원·공공기관은?

근로자의 날은 공무원 및 비근로자에게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 관공서, 학교, 은행 등은 정상 출근하는 경우가 많음
  • 따라서 자영업자, 공무원, 군인 등은 유급휴일 적용 안 됨

📌 한눈에 정리

상황 처리 방식 비고
근로자의 날 휴무 유급휴일 연차 차감 없음
근로자의 날 출근 수당 지급 최대 2배까지
공무원, 자영업자 비적용 근로자의 날 유급휴일 해당 안 됨

💬 결론: 근로자의 날은

쉬면 연차 아님 + 유급 ✔

, 일하면

수당 더 받는 날 ✔

입니다!

만약 회사가 연차로 처리하거나 무급으로 처리한다면, 관련 법 조항을 근거로 바로잡을 수 있습니다. 궁금한 점은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확인하거나 전화상담(1350)을 이용해보세요.

근로자의 권리는 꼭 챙기세요!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SK 유심보호서비스 가입방법 대체커피 VS 일반커피 국민건강보험료 환급금 신청하기 착오송금 반환신청하기 HBM생태계와 SK하이닉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