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융소득과 건보료 폭탄, 피할 수 있을까?
💡 금융소득이란?
예·적금 이자, 채권이자, 주식 배당 등 돈을 맡기고 생기는 수익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는 다음 두 가지로 나뉘죠.
- 이자소득 : 예금, 채권 등에서 받는 이자
- 배당소득 : 주식이나 펀드에서 받는 배당금
📌 금융소득에 붙는 세금은?
- 연간 금융소득 2,000만 원 이하
→ 15.4% 분리과세 (끝!) - 2,000만 원 초과
→ 다른 소득과 합산해서 종합과세 (최대 49.5%)
→ 여기서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됩니다.
😱 진짜 문제는 건강보험료!
세금보다 더 부담스러운 건 바로 건강보험료입니다.
- 연간 금융소득 1,000만 원 이하
→ 건보료 부과 안됨 - 1,000만 원 초과 시 전체 금액에 부과
→ 예: 1,100만 원이면 전체에 부과됨 😨
→ 건강보험료율 약 8% (건강보험료 + 장기요양보험료)
💥 피부양자 탈락 위험까지
금융소득이 많아지면 직장가입자의 피부양자 자격을 잃을 수 있어요.
- 연소득 2,000만 원 초과하면 피부양자 자격 상실
- 이 경우 지역가입자로 전환 → 부동산·자동차 소유에도 건보료 부과됨
- 소득 + 재산 기준으로 계산되므로 건보료 폭탄 가능성 있음!
📊 실전 사례로 알아보는 건보료 & 세금
구분금융소득세금건보료합계
A안 (1억 예금, 4%) | 400만 원 | 약 61.6만 원 | 없음 | 61.6만 원 |
B안 (2.8억 예금, 4%) | 1,120만 원 | 약 172만 원 | 약 90만 원 | 262만 원 |
C안 (2.8억 예금, 8%, 피부양자 탈락) | 2,240만 원 | 약 345만 원 + α | 약 356만 원 | 700만 원 + α |
*α : 종합과세로 추가되는 세금 (최대 49.5%)
*여기서 '피부양자 탈락' 시 건보료 부담이 급격히 커집니다.
🔍 ETF·펀드 투자 시 세금 차이는?
상품매매차익분배금세금
국내 주식형 ETF | 비과세 | 배당소득세 15.4% | 적음 |
해외 주식형 ETF | 양도소득세 | 배당소득세 | 많음 |
해외 주식 | 양도소득세 | 배당소득세 | 많음 |
국내 ETF는 세금 부담이 적지만, 수익률이 중요합니다.
세금 적다고 수익 낮으면 무의미!
✅ 결론: 투자, 무조건 멈출 필요는 없다
- 금융소득이 2,000만 원 넘으면 세금·건보료 모두 증가
- 피부양자 유지 여부 중요 → 건보료 폭탄 방지
- 국내 ETF나 ISA 등 절세 상품 활용 필요
- 자산 구조에 따라 세금 줄이는 포트폴리오 전략 필수
📌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
👉 ISA 계좌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
👉 2025년 건강보험 피부양자 기준 총정리
👉 고령자 금융소득 분산 전략 3가지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건강보험 피부양자 기준 총정리 (12) | 2025.05.16 |
---|---|
ISA 계좌, 제대로 활용하고 계신가요? (25) | 2025.05.15 |
다이소, 어떻게 '티끌'로 3,700억을 남겼을까? (17) | 2025.05.13 |
미중 관세 90일 인하 합의…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은? (28) | 2025.05.13 |
인도 진출 글로벌 기업들, 세금 폭탄 맞은 이유는? (23) | 2025.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