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다이소, 어떻게 '티끌'로 3,700억을 남겼을까?

by 세이브업100 2025. 5. 13.
반응형

 

요즘 "다이소 잘 나간다"는 말, 자주 들리죠? 단순히 ‘가성비의 대명사’라는 수식어만으로 설명되기엔 다이소의 경영 전략은 훨씬 더 치밀하고 놀랍습니다.

✅ 1천 원짜리 티끌의 힘: 연 매출 4조 원

2024년 다이소의 연매출은 약 3조 9,700억 원, 영업이익은 3,700억 원에 달합니다. 놀라운 점은 여전히 전체 제품의 절반 이상이 1,000원짜리라는 점입니다.

평균 단가를 1,000원으로 단순 계산하면 연간 약 40억 개의 상품이 팔린 셈인데요, 개당 약 90원의 순이익이 남는 구조입니다. ‘티끌 모아 태산’을 실제로 이룬 셈이죠.


🧠 다이소가 이렇게 싸게 팔 수 있는 이유

대량 발주 + 글로벌 소싱 전략

다이소는 애초에 가격을 1,000원으로 정해놓고, 그에 맞춰 생산 가능한 제조사를 전 세계에서 찾아냅니다.
여기에 불필요한 디자인, 포장, 브랜드 비용은 과감히 제거. 영양제나 화장품 등도 꼭 필요한 성분만 넣어 가성비 중심의 포지셔닝을 고수합니다.

광고비? 연 매출의 0.1%만 사용

리테일 업계에서 평균 1~3%가 광고비로 쓰이지만, 다이소는 연간 **40억 원 수준(0.1%)**에 불과합니다.
그만큼 입소문과 브랜드 인지도가 압도적이란 뜻이죠.

물류 자동화 & 자체 유통망 구축

다이소의 연간 물류비용은 약 500억~600억 원. 유사한 매장 구조를 가진 올리브영은 약 2,800억 원에 달합니다.
중간 유통단계를 줄이고, 자동화 시스템을 적극 활용한 결과입니다.


 

📊 다이소 vs 쿠팡 vs 이마트

항목다이소쿠팡이마트
매출 약 4조 원 36조 원 22조 원
영업이익 3,700억 원 1.2조 원 1,200억 원
영업이익률 9.4% 3.5% 1% 이하
광고비 비율 0.1% 2~3% 약 1% 이상
 

매출 규모는 쿠팡에 비할 수 없지만, 마진 구조에서는 쿠팡이나 이마트보다 훨씬 우위에 있습니다.


🏪 건물주가 가장 좋아하는 임차인, 다이소

스타벅스가 월매출의 10%를 임대료로 지불하는 반면, 다이소는 고정 월세를 지불합니다.
불황에도 강한 현금 흐름으로 매달 안정적인 임대료를 지급하니, 건물주 입장에선 최고의 세입자인 셈입니다.


🔍 원가절감의 숨은 비결

      • 재고자산 평가충당금: 다이소는 불필요한 손실 처리 비중이 낮습니다. 생활용품 특성상 유행 타지 않고 언젠가는 팔리는 상품이 많기 때문입니다.
      • 임차 권리금 절감: 올리브영 대비 유사한 입지임에도 다이소가 지불한 권리금은 1/3 수준.
      • 무차입 경영: 축적된 이익금(1.1조 원) 덕분에 차입금이 ‘0’에 가까운 건전한 재무 구조.

🇯🇵 다이소는 일본 회사일까?

많은 분들이 오해하는 것 중 하나가 “다이소 = 일본 기업”이라는 인식입니다.
하지만 지금의 아성다이소는 철저한 한국 기업입니다.

일본 다이소산교는 과거 40억 원을 투자해 아성다이소의 지분 34%를 보유했지만,
2023년에 아성다이소가 5,300억 원에 자사주로 매입 및 소각하면서 완전히 분리됐습니다.
결과적으로 100% 국내 자본이 된 셈이죠.


🔮 다이소의 미래는?

다이소는 지금까지 불황에도 잘 팔리는 기업, 고물가 시대에 강한 기업,
그리고 온라인 트렌드에 맞춰 진화하는 기업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 고부가가치 상품(화장품, 의류)도 확대 중
      • 온라인 배송 등 유통 구조도 디지털화
      • 고정비 부담 낮아 경기 불황에도 안정적

📌 저성장 국면에 들어선 한국 경제.
이런 상황일수록 '가성비'를 내세운 다이소는 홈경기를 치르는 셈입니다.


✍️ 마무리

다이소는 단순히 1,000원짜리 생활용품을 파는 회사가 아닙니다.
고정비 절감 + 철저한 원가 관리 + 국내외 트렌드 대응력으로
한국 리테일 산업의 새로운 모범 답안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티끌 모아 태산”이란 말, 다이소에겐 매출 4조, 이익 3,700억이라는 이름으로 증명되고 있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SK 유심보호서비스 가입방법 대체커피 VS 일반커피 국민건강보험료 환급금 신청하기 착오송금 반환신청하기 HBM생태계와 SK하이닉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