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팁

펜션 뒷정리, 꼭 손님이 해야 하나요?

by 세이브업100 2025. 7. 6.
반응형

 

🏡 펜션에서 설거지를 해야 한다고요?

뒷정리 논란, 어디까지가 손님의 몫일까?

 

최근 커뮤니티에서 펜션 뒷정리 관련 논란이 다시 뜨겁습니다. 벽에 붙은 안내문에는 이렇게 적혀 있죠.

  • “퇴실 전 설거지 필수”
  • “쓰레기 분리수거 후 지정장소 배출”
  • “청소 안 하면 벌금 3만 원”

펜션을 예약하며 기대한 건 ‘쉼’이었는데, 퇴실 시간만 되면 마치 아르바이트를 하는 느낌.
과연 이게 정상일까요?


💬 호텔에서는 절대 이런 일 없어요

최근 제가 다녀온 한 호텔에서는 퇴실 시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편안한 밤 되셨나요?"라는 인사를 해주더군요.
컵을 치우지도, 수건을 정리하지도 않았는데 말이죠.

하지만 같은 가격대의 펜션에서는 퇴실 전
설거지, 분리수거, 쓰레기 정리까지 요구받았습니다.
이쯤 되면 “가격은 호텔급, 서비스는 민박급”이라는 불만이 나올 만도 합니다.


 

⚖️ 후기 쓰고 고소당한 사례도

2021년 강원도 홍천의 한 펜션을 1박 100만 원에 예약한 고객이
시설과 악취 문제로 불만을 품고 지도의 후기란에 이렇게 썼습니다.

"시설도 별로인데, 사장 태도가 제일 불쾌. 싹수가 없다."

그 결과 모욕죄로 고소당했고, 벌금 50만 원이 선고됐습니다.
하지만 항소심에서는 무죄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판결문은 이렇게 말합니다:
“이용자가 큰 비용을 지출한 만큼 표현의 강도가 다소 높아도
사회 통념상 허용될 수 있다.”


📌 펜션 사장님의 소신 발언

한 펜션 사장님은 이런 글을 올렸습니다.

“체크아웃 시간에 설거지, 분리수거까지 요구한다면
손님이 쉰 게 아니라 일한 겁니다.
자발적인 배려와 강요된 청소는 다릅니다.”

이 글에는 “그래서 호텔로 간다”, “펜션은 쉼이 아니라 숙제”라는 공감 댓글이 달렸습니다.


🏕️ 펜션도 투트랙 전략이 필요

이제 펜션도 명확한 방향 설정이 필요합니다.

  • 💎 호텔형 펜션: 요금은 높지만 서비스 완비, 청소·정리는 업주 책임
  • 💰 셀프형 펜션: 저렴한 요금 대신 간단한 뒷정리는 손님이 자율적으로

핵심은 ‘선택권’과 ‘사전 고지’입니다.
손님도, 업주도 미리 서로의 책임을 명확히 이해하면 갈등은 줄어듭니다.


🎯 마무리하며

펜션은 자연을 즐기며 쉬러 가는 공간이어야 합니다.
하지만 일부 숙소에서는 “설거지 했나요?”, “분리수거는요?” 묻는 순간
쉼은 깨지고 피로만 남습니다.

“청소가 필요하면 요금을 더 내고 안 하게 하든가,
싸게 받고 그걸 명확히 알려주세요.”

이게 오늘날 펜션 소비자들의 솔직한 목소리 아닐까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로 여러분의 경험과 생각을 공유해주세요!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인스파이어 포레스트 타워 디럭스 킹 후기 영종도 인스파이어 Sun Tower Sun Suite 후기 영종도 맛집 왕갈비짬뽕 양자강 인천 홍게무한리필 후기 동양염전 베이커리 후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