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IMF 세계경제전망 발표

by 세이브업100 2025. 4. 26.
반응형

 

📉 IMF 세계경제전망 발표, 글로벌 저성장의 경고

국제통화기금(IMF)이 2025년 4월 22일(현지 시각), 4월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보고서는 세계 경제가 매우 중대한 분기점(critical juncture)에 와 있다는 진단을 내리며, 향후 글로벌 경기 방향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던지고 있습니다.

🔍 새롭게 바뀐 전망 방식: 기준과 보완 시나리오 병행

IMF는 이번 보고서에서 기존 단일 시나리오 대신 4월 4일 기준 전망(reference forecast)대체 시나리오(alternatives)를 함께 제시했습니다. 이는 최근 미중 무역 갈등과 관세 전쟁으로 인한 정책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 기준전망(4.4 기준): 세계 성장률 2.8%로, 지난 1월 대비 0.5%p 하향
  • 보완전망 ① (4.2 이전 기준): 성장률 3.2%
  • 보완전망 ② (4.9 이후 기준): 2025년 2.8%, 2026년 2.9%

 

🌍 국가·지역별 성장률 전망

🔹 선진국 그룹

전체적으로 성장률은 1.4%로, 1월보다 0.2%p 하락했습니다.

  • 미국: 1.8% (-0.9%p) – 정책 불확실성과 소비 회복 지연
  • 독일: 0.0% – 자동차 산업 침체 등으로 정체
  • 프랑스: 0.6%, 영국: 1.1%, 일본: 0.6%
  • 한국: 1.0% – 1월 전망 대비 1.0%p 급락

🔹 신흥개도국 그룹

성장률은 3.7%로, 0.5%p 하향되었습니다.

  • 중국: 2025년과 2026년 모두 4.0% (-0.6%p)
  • 멕시코: -1.7%p 하향 조정

⚠️ IMF의 경고: 하방 리스크 집중

IMF는 세계 경제가 고금리, 부채, 무역갈등 등 복합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주요 위험으로 지목되었습니다:

  • 무역 분쟁에 따른 소비·투자 위축
  • 금융시장 불안정성, 외환시장 변동성
  • 정책 여력 부족 (재정·통화)

🔧 권고 정책 방향

  1. 예측 가능한 무역환경 조성 – 산업 보조금 억제 및 다자간 협정 확대
  2. 신중한 통화·재정 정책 – 인플레이션 안정과 금융시장 신뢰 유지
  3. 중장기 성장 잠재력 제고 – 여성·고령층 노동참여 확대, AI·디지털 기술 투자 강화

📊 인플레이션 전망

  • 미국: 2025년 물가상승률 3.0%로 상향 조정
  • 중국 및 기타국가: 디플레이션 우려 – 과잉공급과 내수 위축

🇰🇷 한국 경제 전망: 위기의 경고

IMF는 한국의 성장률을 1.0%로 낮추며,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0.8%)와 유사한 수준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무역의존도가 높은 구조, 내수 회복력 부족, 정치적 불확실성 등 복합 요인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 마무리

IMF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 세계 경제가 ‘성장 둔화’라는 중대한 고비에 직면해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을 포함한 각국은 대응 전략을 정교히 세워야 할 시점입니다.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 단기간 충격에 그칠지, 구조적 변화로 이어질지는 여전히 미지수입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미토콘드리아와 노화의 상관관계 저속노화란? 저속노화 식단 만들기 후성유전학이 바꾸는 미래 의료 DNA 메틸화 시계, 생체나이의 열쇠

 

 

 

 

 

 

 

 

 

반응형